젊고, 창의적이고, 아름다운 실용적 구조세계




철근이음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 하이구조
  • 04-08-21 10:51
  • 12,680회
  • 0건

본문

Question :

수고많으시죠

도면에 보면 구조일반사항 중 인장철근의 겹이음길이 표에서

A급이음과 B급이음을 구분하는

첫째 : 사용As/소요As

둘째 : 겹이음 길이내에서 전철근량에 대한 겹이음된 철근량의 비, 란 용어가 있지요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자세히 설명 좀 해주세요

****************************************************************************************


Answer :


첫째에서

사용As란 실제로 배근되는 철근량을 말하며,
소요As란 구조해석결과, 즉 구조계산상, 필요한 철근량을 말합니다.

구조계산상 나온 철근량 값보다 실제로 많은 배근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사용As/소요As 가 2미만이면 B급이음을 하여 A급이음길이 보다 길게 이음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 표현한다면 계산상 나온 배근량보다 실제 배근량이 많은 경우, 철근의 응력상 여유가 있으므로 개개 철근의 이음길이는 다소 짧게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사용As는 구조도면을 보면 알 수 있으나, 소요As는 구조도면만으로는 알 수 없으므로 구조계산서를 참조하거나 구조계산법에 따라 철근량을 직접 산정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둘째는 (이음철근량)/(전체철근량) ×  100 (%) 로,
말 그대로 소요겹침길이 내에서 이음철근량이 전체철근량에 대하여 얼마 만큼인지를 나타내는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10가닥의 같은 직경의 철근이 어떤 이음장소에서 5가닥이 이음되고 나머지 5가닥은 이음없이 지나간다면, 겹이음 길이내에서 전철근량에 대한 겹이음된 철근량의 비는 50% 가 되는 것입니다. 

어떤 이음장소에서 철근이음을 많이 하면, 철근들의 응력중복에 따른 부착력 저하, 밀실한 철근으로 인한 콘크리트 충진의 불리함 등으로 이음길이가 길어져야 한다는 뜻이 여기에 내포되어 있습니다.

이와같은 기준은 인장 겹침이음에 대한 요구조건은 높은 인장응력을 받는 구역에서 떨어진, 즉 배근된 철근면적이 해석에 의해 요구된 면적의 2배 이상이 되는 곳에 이음을 두도록 권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설명이 잘 되었는지 모르겠군요.
자세한 내용은 철근콘크리트구조 관련 전문서적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말 즐겁게 보내세요.  오늘도 물론 좋은 하루되시고요. ^^

댓글목록